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국민연금 감액제도 개편 총정리 (2025.08 기준)|월 약 509만원 미만 소득은 연금 전액 수령 추진 ✅

by 지니 인포 2025. 8. 26.
반응형

“일하면 연금이 깎인다?” 🙅 이제는 일하는 노후를 응원하는 방향으로 전환됩니다. 오늘은 핵심 변화·적용 기준·일정·사례·준비 전략을 한 번에 정리했어요.


 

국민연금 사이트

1) 국민연금 감액제도, 핵심만 콕📌

 

 국민연금 노령연금 수급자가 근로·사업·임대소득 등 소득활동을 하면, 일정 기준을 넘는 동안(최대 5년) 연금이 감액됩니다. 감액 여부와 폭을 가르는 기준은 전체 가입자의 최근 3년 평균소득월액, 즉 A값입니다. 2025년 A값은 약 3,089,062원으로 보도되고 있으며, 현행 제도에서는 이 기준을 넘는 소득이 있으면 감액이 시작됩니다. 💡

용어정리|A값 = 전체 가입자의 최근 3년 평균소득월액. 매년 변동 → 경계값(감액 시작선)도 매년 달라집니다.
 
 
 

 


 

2) 무엇이 바뀌나: 월 5.09백만원 경계 🧩

 

정부는 초과소득월액 기준 1·2구간(A값 초과분 100만/200만원 미만)에 대한 감액을 없애는 방향을 추진 중입니다. 그 결과 A값(2025년 약 308.9만원) + 200만원 ≈ 5,089,062원(약 509만원) 미만의 월소득은 연금을 전액 받는 그림이 됩니다. 🎉

  • 핵심: “월 약 509만원 미만 = 감액 없음(전액 수령)” 추진
  • 대상 소득: 근로·사업·임대 등(금융소득의 일부는 통상 제외 보도. 최종 고시 확인 필수)
  • 상태: 추진·입법 단계(세부 수치·범위는 최종안에서 확정)
주의|언론별로 경계값 표기가 5,089,062원 또는 5,099,062원 등으로 다소 상이합니다. 이는 A값 표기·반올림 차이 때문이며, 최종 확정안을 반드시 확인하세요.

 3) 기초연금 ‘부부감액’ 완화 방향 💑

현재 부부가 모두 기초연금을 받으면 각자 20% 감액됩니다. 정부는 소득 하위 40% 등을 중심으로 2027년부터 단계적으로 감액률을 낮추는 방안을 검토·추진 중입니다. 보도에 따르면 ① 2027년 15% → 2030년 10% 완화 시나리오와 ② 2027년 10% → 2030년 폐지 시나리오가 혼재합니다. 확정은 법 개정으로 이뤄지니 최신 공고를 확인하세요.

 


4) 나에게 미치는 영향 & 계산 예시 📈

 

사례 A|근로소득 420만원 + 노령연금 180만원
개편 후(가정): 420만원은 A값(약 308.9만원)을 111만원 초과 → 초과 200만원 미만 구간 폐지 시 감액 없음(전액 수령) 가능성이 큼. 총 가계 월소득 ≈ 600만원 유지.

사례 B|자영업소득 505만원 + 노령연금 160만원
개편 후(가정): 월 5.09백만원 경계 이하라면 감액 없음 → 연금 온전히 수령. 단, A값은 매년 바뀌므로 경계값도 매년 조정.

사례 C|부부 모두 기초연금 수급
2027년부터 부부감액 축소 적용 시 가처분소득이 과거보다 늘어 생활비 여유 확대. 정확한 감액률·대상은 최종 정부안 기준.

포인트|감액 판단의 핵심은 월소득소득 종류. 근로·사업·임대는 포함, 이자·배당 등은 통상 제외 보도. 다만 최종 시행령·지침 확인이 필수입니다.

 

 

노령연금 바로가기

 

 


5) 자주 묻는 질문(FAQ) ❓

 

Q1. 509만원은 고정인가요?
A. 아니요. 경계값 = A값 + 200만원 구조라 A값이 변하면 경계도 바뀝니다.

Q2. 금융소득도 감액 산정에 포함되나요?
A. 언론 보도상 근로·사업·임대 중심으로 설명됩니다(금융소득 일부 제외). 확정은 법령·지침에 따릅니다.

Q3. 언제부터 달라지나요?
A. 정부는 2025년 하반기 개선안 발표·입법을 추진, 2026년 하반기 일부 시행을 목표로 하고, 2027년 효과 분석 후 확대 검토 계획을 밝히고 있습니다.


6) 일정·로드맵 🗓️

 

  • 2025.9 전후|노령연금 개선안 공식 발표(예정)
  • 2025.연말|관련 법 개정 추진
  • 2026.상반기|제도 정비·시스템 준비
  • 2026.하반기|감액 폐지(1·2구간) 일부 시행 목표
  • 2027년|효과 분석 후 확대 검토
  • 기초연금2027년부터 부부감액 단계적 축소, 2030년 추가 완화·(또는) 폐지 시나리오 검토

 


7) 체크리스트 & 준비 전략 🧭

 

  • 내 연소득/월소득이 A값 + 200만원 경계에 걸리는지 점검(연도별 A값 반영)
  • 소득 유형을 구분(근로·사업·임대 vs 금융)해 감액 산정 대상인지 확인
  • 재취업·자영업 타이밍을 2026 하반기 시행 일정에 맞춰 조정
  • 배우자와 기초연금 부부감액 완화 적용 시기를 체크해 가계 캐시플로우 재설계
  • 국민연금공단 공지·복지부 보도자료로 최종 확정 수치 수시 확인

주의|본 글은 2025년 8월 공개된 정부·언론 보도를 토대로 정리한 개편 방향 안내입니다. 최종 수치·범위·시행일은 법 개정·고시에서 확정됩니다.

 

반응형